매일 묵상
매일의 묵상을 함께 나눕니다
오늘의 매일묵상
포도원 악한 농부들 비유 [눅 20:1-18]
눅 20:1-18 포도원 악한 농부들 비유 본문은 성전에서 복음을 전하시던 예수님이 성전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예루살렘의 종교지도자들(대제사장들, 서기관들, 장로들)과 나눈 대화(논쟁)를 소개한다. 기득권의 위협을 느낀 예루살렘의 지도자들은 예수님의 권위에 대해 질문하고 그를 죽일 기회를 얻으려 한다(1~8절). 예수님은 포도원 농부 비유(9~15절)로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인 것과 아들을 배척한 지도자들이 심판을 피할 수 없음(16~18절)을 경고하신다. 1. 예수님의 권위에 대해 질문하는 예루살렘의 지도자들(1~8절)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예수님이 성전에서 백성을 가르치고 복음을 전하실 때

예루살렘 입성, 성전청결과 말씀을 가르치심 [눅 19:28-48]
눅 19:28-48 예루살렘 입성, 성전청결과 말씀을 가르치심 말씀하신대로 예루살렘 경계에 도착하신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보내 나귀 새끼를 가져오게 하고, 제자들은 예수님을 나귀에 태우고 예루살렘 성으로 들어가신다. 무리는 환호하며 맞아 들인다.

언젠가보다 중요한 지금, 여기에서 작은 일에 충성![눅 19:11-27]
눅 19:11-27 언젠가보다 중요한 지금, 여기에서 작은 일에 충성! 예루살렘 입성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사람들은 다윗의 자손으로서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 나라가 임하는 줄로 생각했다. “므나 비유”는 이렇게

바늘귀를 통과한 부자 삭개오 [눅 19:1-10]
눅 19:1-10 바늘귀를 통과한 부자 삭개오 순례자들이 예루살렘에 입성하기 직전에 통과해야 하는 여리고에서 예수님은 삭개오의 집에 초대를 받고 그의 집에 구원이 임했음을 선언하신다. 삭개오 이야기는 부자 관리(18:18~34)와 거지 맹인(18:35~43) 이야기

예수님의 길, 그 길을 여전히 깨닫지 못하는 제자들 [눅 18:31-43]
눅 18:31-43 예수님의 길, 그 길을 여전히 깨닫지 못하는 제자들 본문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예수님의 마지막 수난 예고(31~34절)와 거지 맹인의 치유 사건(35~43절)으로 구성된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목표를 실현할 목적지 예루살렘의 문턱인

끈질기게, 절박하게, 낮아지고 어린아이처럼, 부자 관리의 착각, 베드로의 착각 [눅 18:15-30]
눅 18:15-30 어린아이처럼, 부자 관리의 착각, 베드로의 착각 어린 아이들과 부자 관리의 이야기를 병치시킨다(15~17, 18~30절). 의존하는 성격의 어린아이와 달리 부자 관리처럼 소유와 권력을 놓지 않아 예수를 따르지 못한 사람은

끈질기게, 절박하게, 낮아지고 낮아져서… [눅 18:1-14]
눅 18:1-14 끈질기게, 절박하게, 낮아지고 낮아져서… 본문은 기도를 소재로 삼는 두 비유로 구성된다. 하나님 나라는 왔지만 완성될 나라이므로(17:20~37), 제자는 끈질기게 간청하는 과부처럼 마지막 날에 인자가 올 때까지 변함없이 하나님을

하나님 나라 지금 여기에,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며… [눅 17:20-37]
눅 17:20-37 하나님 나라 지금 여기에,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며…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바리새인들의 질문(20~21절)을 계기로 제자들에게 인자의 오심에 대해 가르치신다(22~37절). 하나님 나라가 오는 것(17:20)은 인자가 오는

열 명의 나병 환자의 치유받음, 그 중 한 명의 감사와 영광의 고백 [눅 17:11-19]
눅 17:11-19 열 명의 나병 환자의 치유받음, 그 중 한 명의 감사와 영광의 고백 본문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여정의 후반부(17:11~19:27)의 첫 장면이다. 예수님이 사마리아와 갈릴리의 중간을 지나 어떤 마을에 들어갔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