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 21:29-38 그날을 준비하는 제자의 태도
예수님은 예루살렘 성의 멸망과 인자의 재림을 예고하시며 “징조”에 대하여 설명하셨고, 본문은 “때”와 관련된 교훈을 주신다. 예수님께서는 종말의 구체적인 시간을 알리지 않으시고 종말의 확실성, 즉 인자가 확실히 오심을 강조하신다(29~33절). 또 인자의 재림에 합당한 준비가 어떤 것인지 말씀하신다(34~36절). 이렇게 성전에서 가르침을 마무리하신다(37~38절).
1. 무화과나무 비유(29~33절)
본문은 예수님의 종말론 강화(21:5~36) 마지막 부분이다. 무화과나무의 비유(29~31절)와 경계의 말씀으로 마무리하신다.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를 통해 때를 분별할 것을 교훈해 주신다. 예수님은 무화과나무를 바라보시며 나무의 잎이 돋아나는 것을 보면 여름이 다가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교훈하신다. 이렇게 돋아나는 나뭇잎이 여름을 알리는 표시이듯이 종말론적 장조들이 일어나는 것은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임한 표시이다.
분문은 하나님 나라의 미래의 도래가 아닌 지금의 임재를 강조한다(17:20~21).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청중은 종말의 징조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게 되고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임하여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32절은 종말론적 징조들의 성취에 대한 언급이다. “이 세대”는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다. 이 세대는 예수와 동시대의 세대를 뜻하거나 “유대 민족, 인류, 종말의 때를 사는 세대” 등을 뜻할 수 있다. 하지만 31절을 놓고 보면 “예수님과 동시대의 세대”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33절은 천지와 예수의 말씀이라는 대조 속에서 “사라지다”가 두 번 반복하는데, 이는 예수께서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그의 말씀은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씀하셨고, 그의 말씀이 반드시 성취될 것이라고 강조하여 말씀하신다.
예수님은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통해 시대를 분별할 줄 아는 지혜의 필요성을 강조하셨다. 신앙인이 시대를 분별하는 것은 필요한 일인 동시에 중요한 일이다. 지금이 무엇보다 종말의 시대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시대를 분별하는 신앙인은 근신하여 깨어 있게 된다. 주님을 가까이하여 주의 뜻을 헤아린다. 그를 유혹하는 세속적인 일들로부터 마음과 생각을 지킨다.
이윽고 예수님께서 표적을 구하는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에게 반문하셨다. “너희가 날씨는 분변할 줄 알면서 시대의 표적은 분별하지 못하느냐? (마 16:3).”
2. 예수의 경계(34~36절)
예수님은 “스스로 조심하라”는 메시지와 “항상 깨어 있으라”고 당부하신다. 예루살렘 멸망의 예언(21:20~24)이 직접적으로 유대 민족과 연관된다면 최종적인 경계의 메시지(34~36절)는 전 인류와 연관된다.
34절은 “스스로 조심하라”고 하신다. 그 이유를 두 가지로 언급하는데, 첫째, 조심하지 않으면 마음이 둔하여지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조심하지 않으면 방탕과 술 취함, 그리고 생활의 염려로 마음이 짓눌리게 된다고 경계하셨다. “방탕과 술 취함”은 바울 서신에서 정욕을 위한 육체의 일(롬 13:13), 율법 아래에서 행하는 육체의 일(갈 5:19)로 언급된다. “생활의 염려”는 생명이 유지되는 것과 관련된 인생의 모든 걱정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마 6:31)”라고 하신 말씀을 상기시킨다.
둘째, 조심하지 않으면 그날이 갑자기 덫과 같이 임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날’은 36절의 “인자 앞에 서도록”과 관련되어 인자의 재림 날을 뜻한다. “덫과 같이”는 35절 서두에 등장 하는데, “예기치 않게”라는 의미다. 인자의 오심은 스스로 조심하지 않은 자들에게 예기치 않게 갑작스럽게 임할 것이다. 이러한 인자의 갑작스러운 임재는 12:39~40; 17:26~35에서도 서술된다. 예기치 않은 때에 인자의 임함은 특히 밭에 있는 두 사람과 맷돌질하는 두 여자의 예를 통해 드라마틱하게 서술된다. 두 사람이 밭에 있다가 한 사람은 데려가고 한 사람은 버려둘 것이다. 두 여자가 맷돌을 갈다가 한 사람은 데려가고 한 사람은 버려둠을 당할 것이다.
35절은 그날이 모든 사람에게 임한다고 서술한다. 인자의 오심은 온 땅에 거하는 모든 사람에게 닥칠 것이라고 말한다. 예루살렘의 멸망 예언에서 유대 민족을 향한 초점은 이제 온 인류 모든 사람을 향한다. 36절은 항상 깨어 있으라는 경계의 메시지다. 여기서 기도하는 것과 깨어 있는 것은 밀접하게 연결된다. 순교를 각오해야 할 고난의 때는 항상 기도함으로 믿음의 능력을 받아야 할 때다. 늘 기도함으로 주어지는 믿음의 능력으로 깨어 있어야 할 때다.
본문에서는 기도의 목적을 “모든 고난을 능히 피하려고, 그리고 또한 인자 앞에 서기 위하여”로 정리한다. 예수께서 무화과나무의 비유에 이어 “스스로 주의하라””항상 기도하면서 깨어 있으라”라고 권고하셨다. 이 메시지는 예수님 당시 그의 말씀을 들었던 청중을 향한 메시지이자 이 시대 독자들을 향한 메시지다. 예수의 재림을 기대하며 종말의 시대를 살아가는 성도는 자신의 마음을 돌이켜 주님께 향하여야 한다. 죽음을 각오해야 할 고난 앞에서 무시로 기도하면서 믿음의 능력으로 깨어 있어야 한다.
3. 성전에서 가르치시는 예수님(37~38절)
본문은 성전 청결로 시작된 예수님의 예루살렘 사역의 에필로그다. 예수님은 낮에는 성전에서 하나님 나라 복음을 전하고 가르치셨고, 밤에는 감람산에서 기도하셨다. 이를 선명하게 드러낸다.
37절은 예수님의 가르치시는 사역을 언급한다. 그가 날마다 성전에서 가르치셨다. 예수님의 가르치는 사역은 치료하는 사역, 전파하는 사역과 더불어 예수님의 본질적인 사역이었다. 38절은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성전으로 나아가는 백성들을 묘사한다. 모든 백성이 그의 말씀을 들으려고 아침 일찍 일어나 성전으로 향하였다.
가르치는 사역은 하나님 나라의 본질적인 사역이다. 동시에 교회의 본질적인 사역이다. 이를 위해 교회와 성도들은 성경으로부터 주님의 말씀을 배워야 한다. 성경으로부터 제대로 배운 교회의 성도들이 주님의 말씀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다.
나는?
-주님 다시 오실 징조는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일어났다. 예루살렘 멸망도 말씀하신 대로 이루어졌다. 자연 질서가 흔들리는 무수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하늘의 징조도 역사적인 기록에 따르면 종종 나타났다.
-“이와 같이 너희도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로 알아라. (새번역_31절)” 하나님 나라의 완성이 가까이 온 것이 틀림없다.
-이미 임한 하나님 나라에 살고 있지만,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기다리는 제자들에게는 “말씀”의 약속이 역사 속에서 증명되고 있으니 이를 “알고” 주님의 재림을 “바라보며” 살면 될 일이다.
*하지만 함정이 있다. “스스로(34절)” “알고 보고 있는” 이 증거를 외면하는 이들도 나타난다는 것이다. “천지는 없어질 것이나 나(주님)의 말(말씀)은 없어지지 않을 것( 33절)”이라는 주님의 확언도 소용없다. 스스로 마음을 방탕하도록 내버려두고, 세상 가치(술)에 취하며, 무엇을 먹을까, 입을까, 마실까, 염려하는 것에 이미 마음을 빼앗겼다.
*언제든지, 누구든지 제자들은 이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하시는 것이다. 그래서 “항상 깨어 기도하라”고 당부하셨다. 성령의 도우심을 의지하라는 것이다. 성령께서 기도를 들으시고 이 세대의 방탕함과 취함과 염려에서 마음을 지켜 주실 것이며, 주님의 말씀을 알고 바라보도록 도우신다. 그리고 성령께서는 이 도우심을 “말씀”을 통해 역사하신다. 내가 늘 말씀을 묵상하고 읽으며 하루를 시작하게 하시는 것도 결국 이런 이유다!
*그러므로 오늘도 나는 주님의 말씀을 듣는 마음으로 읽고 생각한다. 다시 오실 주님을 영광스럽게 맞이할 준비는 말씀 앞에서 선명해지고 일상에서 굳건해질 것이다. 세상 가치가 주는 것에 마음이 분탕질 되지 않게 하실 것이다. 염려의 늪에 빠져도 이내 빠져나오게 하실 것이다. 세상의 달콤한 속삭임에 취하지 않도록 “더 달콤하고 귀한 말씀”으로 영혼을 채워 주실 것이다.
*”모든 백성이 그 말씀을 들으려고 이른 아침에 성전에 나아가더라…(38절)” 오늘도 성령께서 일깨워 주시는 주님의 “그 말씀”을 들으려고 말씀 앞에 서야지…. 오늘도 들려주신 “그 말씀”으로 살아내다, 내일도 “그 말씀”을 들으려고 또 나아가야지….
*그렇게 “그 말씀” 앞에 살아가다, “그 말씀” 앞에 있을 때 다시 오실 주님을 뵈면 좋겠다. “그 말씀” 앞에서 “그 말씀(예수님)”을 뵈어야지…. 꼭 그래야지….
*주님, 다시 오실 주님의 당부를 잊지 않겠습니다. 주님의 그 말씀을 날마다 귀 기울이며 살겠습니다.
*주님, 불현듯 임할 주님의 재림을 오늘도 나에게 주시는 “그 말씀”을 의지하며 살아내다 맞이하겠습니다. 늘 말씀이 생각나서 마음의 결정이 일어나도록 이끌어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