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성경 묵상
나봇의 포도원 이야기 1 [왕상 21:1-10]
 – 2023년 10월 26일
– 2023년 10월 26일 –
아합은 하나님의 기적을 보아도, 하나님의 질책을 들어도 여전히 하나님께 돌아오거나 회개하지 않는다. 여전히 굳은 마음으로 버티고 있다. 더 나아가 새로운 죄로 더한다. 본문은 아합의 탐욕을 다룬다. 그이 탐욕은 이세벨의 간교한 계획을 통해 죄악으로 구체화 된다. 아합은 나봇의 포도원에 눈독을 들이고 이를 사려한다. 그러나 나봇은 포도원이 조상의 유산이며, 이를 매매하는 것을 하나님이 금하셨음을 들어 이를 거절한다. 이에 아합은 의기소침해진다. 이세벨이 자초지종을 듣고 나서 나봇에게서 포도원을 빼앗아 아합에게 줄 것이라고 약속한다. 이세벨은 성읍 지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 나봇을 함정에 빠뜨리고 위증해서 돌로 쳐 죽이라고 시킨다.
 
나봇의 포도원 이야기를 이해하려면 이스라엘의 토지 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한다. 아합이 나봇에게 포도원을 팔라고 했을 때 나봇은 조상의 유산이기 때문에 안 된다고 했다. 레위기 25:23에 따르면 이스라엘에서 토지 매매는 기본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왜냐하면 토지는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선물이기 때문이다. 민수기 36:7에는 “이스라엘 자손의 기업이 이 지파에서 저 지파로 옮기지 않고 이스라엘 자손이 다 각기 조상 지파의 기업을 지킬 것이니라”라고 명령하고 있다.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땅에서 사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 안에 거하는 징표이며,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며 살아간다는 의미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아합이 나봇에 포도원을 팔라고 하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어기라는 뜻이다.
 
 
 
1. 나봇의 포도원을 사려는 아합(1~3절)
아람과의 전쟁과 선지자를 통한 하나님의 심판 선언이 있었던 후, 나봇 포도원 사건이 일어난다. 아합의 궁 가까이 이스르엘 지방에 사는 이스르엘 사람 나봇의 포도원이 있었다. 아합은 나봇에 포도원을 팔라고 했다. 이유는 왕궁 가까이 있기에 자신의 채소밭으로 만들고 싶다는 것이었다. 대신 나봇에게 포도원을 팔면 자신의 포도원 중에서 좋은 포도원을 주겠고 만일 돈으로 받고 싶으면 그 가격에 해당하는 돈을 주겠다고 제안했다.
 
일반적으로 아합의 제안은 나봇에게 나쁜 제안이 아니다. 오히려 이익이 될 수도 있다. 현재 나봇의 포도원 상태는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지만, 왕의 포도원 중에서 좋은 포도원으로 바꾸어 준다면 경제적으로 이익이 될 것이다. 또 돈으로 받는다면 자신이 원하는 가격으로 받고 자신이 원하는 땅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겉으로 보면 아합은 왕이라는 지위를 이용해 백성의 땅을 빼앗지 않고 매우 후한 조건으로 너그럽게 사려는 것처럼 보인다.
 
 
 
2. 아합의 제안을 거절한 나봇(3~4절)
그러나 나봇은 아합에게 자기 조상의 유산을 왕에게 주는 것을 여호와께서 금하셨기 때문에 팔 수 없다고 거절한다. 이스라엘에서 땅은 여호와께서 가나안 입성 시 각 가족에게 선물로 주신 것이기에 팔지 말라고 하셨다. 이스라엘에서 토지 매매는 금지되어 있다. 지계표를 함부로 옮기지 말라는 명령도 땅을 함부로 사고팔지 말라는 의미다. 가난이나 다른 이유로 땅을 거래하더라도 가까운 친척에게 넘겨서 지파 간 경계를 넘어서지 못하게 한다. 슬로브핫의 딸들이 땅을 소유한 상태에서는 다른 지파 사람들과 결혼하지 못하고 같은 지파 사람들과만 결혼할 수 있게 제한 한 것도 처음 정해놓은 경계선이 흐트러질 것을 염려해서이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땅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에게 주시는 은혜를 계속해서 누리는 은혜의 통로였다. 땅을 잃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를 잃는 것으로 간주할 정도였다. 경제적으로 보면 땅은 부익부 빈익빈을 막으려는 방편이었다. 땅을 거래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은 이스라엘 경제의 바탕을 이루고 있던 명령이었다.
 
그런데 아합은 하나님의 대리 통치자로서 누구보다 더 철저하게 하나님의 법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땅 거래를 요구한 것이다. 이에 반해 나봇은 여호와께서 허락하신 일이 아니라며 분명하게 거절한다. 아합은 더 이상 강요하지 못하고 속상하고 성난 마음으로 왕궁으로 돌아와야 했다. 그리고 침상에 얼굴을 돌리고 누워서 식사도 하지 않는다. “아합이 근심하고 답답하여”라는 표현은 20장 43절에서 여호와의 심판 선언을 받았을 때 느꼈던 감정 표현과 똑같다. 아합이 심판 선언을 받았을 때 느낀 감정은 겨우 포도원을 갖지 못했을 때의 속상함과 분함 정도밖에 안 되었다. *아합은 하나님께 대한 경외와 감사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그가 침상에서 얼굴을 돌리고 누워서 밥을 안 먹었다는 것은 여호와의 심판 선언 때문에 받은 상심보다 포도원을 갖지 못해서 받은 상심이 더 컸다는 것을 비교해 준다.
 
 
 
3. 이세벨의 약속(5~7절)
이세벨이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하다. 아합에게 무슨 근심이 있어 식사를 안 하느냐고 묻는다. 아합은 자신이 나봇에게 한 제안과 거절에 대하여 이세벨에게 말했다. 그런데 아합이 이세벨에게 말할 때는 몇 가지를 생략한다. 먼저 왜 나봇의 포도원을 갖고 싶어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말해주지 않는다. 그리고 나봇이 왜 거절했는지도 말하지 않는다. 여호와께서 허락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팔 수 없다는 말을 밝히지 않음으로 이세벨이 아합이 거절당한 것이 오롯이 나봇 때문으로 여기게 만들어 버렸다.
 
이세벨의 “당신은 이스라엘의 왕이지 않습니까?”라는 말에는 왕이면 못 할 것이 없는데 그만한 일로 밥을 안 먹으며 마음 쓸 것이 있냐는 것이다. 그러면서 나봇의 포도원을 왕께 주겠다고 약속한다. 이스라엘의 왕은 하나님의 법이 위에 있지만, 당시 고대 근동 대부분의 나라는 왕이 절대 권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왕이 못 할 일은 거의 없었다. 이런 배경에서 자란 이세벨은 왕이 아합이 백성의 밭 하나를 빼앗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모습이 이해가 안 되었을 것이다.
 
 
 
4. 나봇을 죽이려는 계획을 세운 이세벨(8~10절)
아합에게 밭을 주겠다고 약속한 이세벨은 아합의 이름으로 편지를 써서 인을 치고 봉하여 성읍에서 나봇과 함께 사는 장로들과 귀족들에게 보낸다. 편지의 내용은 금식을 선포한 후에 나봇을 백성의 대표자로 세운 후 불량자 둘을 세워 나봇의 앞에 앉히고 그에 대하여 하나님과 왕을 저주했다고 증언하게 한 후, 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그를 끌고 나가 돌로 쳐 죽이라는 내용이었다. 금식을 선포한다는 것은 전쟁이나 기근이나 큰 재앙이 임했을 경우 온 공동체가 함께 회개하는 것으로 이세벨은 장로들과 귀족들에게 나라의 재앙을 물러가게 하기 위한 종교 행사를 열라고 한 것이다.
 
레위기 24:11~16에 따르면 여호와를 저주하는 죄는 돌로 쳐 죽이는 중죄였다. 이세벨은 나봇을 신성 모독죄로 죽이려고 한 것이다. 증인을 두 명 세운 것은 사람을 죽이는 처벌을 할 때는 반드시 두세 사람의 증언이 있어야 한다고 했기 때문이다(신 17:6). 이렇게 이세벨은 형식적으로는 여호와의 법에 따라 여호와를 저주하는 나봇을 제거하여 이스라엘에서 여호와를 더욱 존귀하게 하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하지만 이세벨은 밭을 빼앗으려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장로와 귀족들을 이 일에 이용하였다. 그들은 성안의 질서를 세워 법을 지키게 하고 자잘하게 일어나는 분쟁을 해결하며 중요한 결정의 증인 역할을 하는 성읍의 지도자들이었다. 그런데 이세벨은 왕의 권위를 이용하여 이들에게 나봇을 죽이는 불의한 일에 동참하도록 강요한 것이다. 정의와 질서를 지켜야 할 지도자들에게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서 불의를 저지르도록 강요하는 것은 이스라엘을 불법이 퍼지고 무질서한 나라가 되도록 만드는 일이다.
 
여호와께서 율법을 주신 이유는 분명하다. 무질서 대신 질서를 주신 것이고, 백성들을 그 질서 안에서 평안함을 누리게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이세벨은 여호와의 불법을 이용하여 여호와의 율법을 파괴한다. 무고한 하나님의 백성을 죽이려고 하고 있다. 이세벨이 결코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녀는 바알을 숭배하였기에 이스라엘 하나님을 경외한 적이 없었다. 여호와의 율법에 얽매이지도 않는다. 여호와의 말씀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이용하고 악용하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나는?
-해서는 안 될 거래를 시도하는 아합이다. 왕이라도 땅을 사고 팔아 지계표를 옮길 수 없음에도 자신의 채소밭을 일구기 위해 나봇의 포도원을 사려한다. 물론 강제로 빼앗으려고 했거나 사려고 한 것은 아니다. 정당한 대가를 치르려 했고 더 좋은 포도원으로 바꿀 용의도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정당한 거래라고 할지라도 거래 자체가 불법이라면 하지 말았어야 했다. 아합은 권력 남용을 하지 않았지만, 하나님의 법에 적극적으로 순종하지도 않았다.
 
-순종도 아닌 불법도 아닌 어정쩡한 아합의 모습이 이어진다.
 
 
-나봇은 경제적인 득실을 따지지 않고 단지 땅의 기업을 임의로 팔아서는 안 된다는 율법을 지키려고 왕의 제악을 거절했다. 하지만 나봇의 포도원을 얻지 못한 아합은 근심하고 답답하여 식음을 전폐한다. 아내 이세벨에게도 나봇이 율법을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왕의 큰 호의를 매정하게 거절한 것처럼 왜곡하여 전했다. 아합은 어쩌면 원하는 것은 기어코 얻어야 하는 어린애와도 같은 사람이었다.
 
-내 뜻과 하나님의 뜻이 다르다고 해서 말씀을 듣지 않거나 기도하지 않거나 예배하지 않는 등으로 하나님께 항의하지 않는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이미 불순종이고, 그것은 내 뜻대로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근심하고 답답해하며 식음을 전폐한 아합과 다를 바 없다.
 
 
-이세벨은 정말 악하다. 그녀는 거짓 증인들을 앞세워 나봇이 왕과 하나님을 저주하였다고 모함하여 돌로 쳐 죽이게 한다. 이세벨은 하나님께서 매우 싫어하시는 추악한 권력의 속성을 모두 갖췄다. 이스라엘의 왕은 백성들의 형제요, 백성들을 섬기는 자이며, 하나님의 법을 순종함으로써 하나님만을 왕으로 모셔야 하는 자리이다. 그러나 이세벨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또한 아합이 아니라 자신이 왕인 듯이 행세했다. 하나님의 소유인 나봇의 생명과 나봇의 땅을 함부로 죽이고 빼앗았다. 이것이 탐욕의 신 바알과 아세라 숭배자의 실체였다.
 
-그녀는 자기 부인과 사랑과 섬김의 삶을 요구하시는 하늘의 하나님을 믿지 않기에, 이 세상은 힘과 소유와 쾌락을 숭배하며, 이를 위해 누구든 희생시킬 수 있는 무자비한 사람들이다.
 
 
 
*주님, 아합의 어정쩡한 모습이 몹시 우려스럽습니다. 이세벨의 선을 넘은 폭력을 당연하게 여기는 악함이 힘듭니다. 이 세상에서 하나님을 굳게 붙잡는 확실한 믿음과 주님의 사랑과 섬김을 본받아 더 예수님처럼 살아가겠습니다.

Leave a Comment

매일성경 묵상

스데반의 설교_모세 이야기 [행 7:17-36]

스데반은 출애굽의 이야기 가운데 중요한 대목을 요약하는 방식으로 모세의 이야기를 이어간다. 그는 모세가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져 바로 공주의 아들로 입양된 이야기로 시작하고, 청년 시절 애굽

자세히 보기 »
매일성경 묵상

2차 투옥과 하나님의 적극 개입 [행 5:12-26]

산헤드린 공회의 엄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 교회의 신자들은 솔로몬의 행각에 모이고 하나님은 사도들의 사역을 통해 지속적으로 표적과 기사를 일으키신다. 이에 시기로 가득한 사두개인들은 사도들을 다시

자세히 보기 »